투자정보

AI 수요에 환호한 MSFT 실적 뒤 숨은 변수는?

Redtrader 2025. 5. 1. 18:08

 

 
안녕하세요. 레드 트레이딩 센터입니다.
장 마감 후 급등 소식을 보고도 저는 바로 매수 버튼을 누르지 않았습니다. 2022년 급등락에 휘둘렸던 기억 때문에, 먼저 손에 쥔 물량의 12 %만 이익 실현한 뒤 새벽 보고서를 찬찬히 읽기로 했죠.
 
 

실적 핵심 포인트

 
이번 분기 매출은 작년보다 두 자릿수 늘었고, 주당이익도 컨센서스를 상회했습니다. 무엇보다 인텔리전트 클라우드 매출 비중이 전체의 절반에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애저 성장률 33 % 가운데 절반가량이 생성형 AI 수요에서 나왔다는 설명은 앞으로의 여지를 가늠하게 해 줍니다.
 
 

사업 부문별 온도차

 

클라우드: 신규 고객 대다수가 AI 워크로드부터 도입하는 추세라고 합니다.

생산성: 오피스 구독은 견고했지만 링크드인 채용 솔루션이 부진했습니다.

개인용 컴퓨팅: 게임패스, 마인크래프트 트래픽이 호조를 보였으나 콘솔 하드웨어 판매는 정체였습니다.

제가 눈여겨본 대목은 데이터센터 투자 속도 조절입니다. 자본 지출을 늦추면서도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선주문 방식으로 서버를 받는다고 하니, 현금흐름이 한층 안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가이던스와 관세 변수

 
경영진은 다음 분기 매출 상단을 740억 달러로 제시하며 시장 기대를 끌어올렸습니다. 고정환율 기준 애저 성장 전망 35 %도 고무적이죠. 다만 7월 관세 논의가 본격화되면 부품 조달 비용이 단기에 뛰어오를 수 있습니다. 저는 이 구간을 대비해 300달러 행사가 풋옵션을 일부 편입해 두었습니다. 
 
 
 
 
 

레드의 대응 전략 메모

 
급등 직후 추격 매수 대신 분할 매도로 평균 단가 조정

관세 확정 전까지 양방향 스프레드로 하방 위험 차단

구독형 매출 확대와 AI 네트워크 효과가 이어지는 한 장기 보유 유지


 

결국 관건은 ‘클라우드 점유율 확대 vs. 비용 압박’의 균형이라고 봅니다. 저는 현금 20 %, 방어주 25 %, 성장주 45 %, 파생 10 % 비중으로 재정렬해 두었습니다. 다음 분기 실적과 관세 일정이 겹치는 8월을 분수령으로 보고, 그때까지는 주가 조정 시마다 분할 매수로 접근할 예정입니다.


오늘 실적 리뷰가 투자 계획에 어떤 힌트를 주었나요? 클라우드 성장과 관세 변수를 여러분은 어떻게 해석하시는지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 다양한 시각을 나누면 더 똑똑한 결론에 다가갈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고맙습니다!
 
레드 트레이딩 센터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