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보

2025년 주휴수당 계산법조건 계산 방식 지급 시점까지 완벽정리

Redtrader 2025. 7. 11. 19:25

주휴수당, 아직도 헷갈리세요? 이 글로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아르바이트나 단기직 근무를 하다 보면 "주휴수당은 받는 건가요?"라는 질문을 많이 하게 되죠.
사장님도 정확히 설명 안 해주고, 주변 사람들도 다 다르게 말하다 보니 헷갈릴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주휴수당은 받을 수 있는 조건만 되면 당연히 지급받아야 하는 법정 수당입니다.
이제부터는 애매하게 넘기지 마세요. 누구에게 지급되는지, 어떻게 계산되는지 지금부터 제대로 알려드릴게요.

주휴수당이란 뭔가요?

쉽게 말해서, 일주일 동안 빠짐없이 일한 사람에게 ‘쉬는 하루에 대한 급여’를 주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주 5일 근무했다면 하루는 쉬면서도 시급 × 일 근무시간만큼 돈을 받을 수 있는 거예요.
이게 바로 주휴수당입니다.

어떤 조건을 만족해야 받을 수 있을까?
두 가지 조건을 동시에 만족해야 합니다.

일주일 동안 정해진 근무일에 빠짐없이 출근할 것
1주일 기준 총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일 것

예를 들어 하루 3시간씩 주 5일 근무했다면, 총 15시간으로 조건 충족!
반면 주 2일만 근무하거나 총 근무시간이 10시간이라면 대상이 아닙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이렇게 간단합니다

주휴수당 계산 공식은 아주 심플해요.
주휴수당 = 1일 근로시간 × 시급

예시로 확인해볼게요.
2025년 최저시급은 9,860원입니다.
하루 8시간씩 주 5일 근무한다면?

→ 9,860원 × 8시간 = 78,880원
이게 바로 일주일 개근 시 받게 되는 주휴수당입니다.

한 달 기준으로 보면 4주 × 78,880원 = 315,520원이 급여에 추가되는 셈이죠.

시급 근로자뿐만 아니라 알바생도 받을 수 있을까?

그럼요. 요즘 대부분의 아르바이트생도 받을 수 있어요.
단,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면서 빠짐없이 출근한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예시)
하루 4시간씩 주 5일 근무하는 알바생
→ 총 20시간 근무 → 조건 충족!
→ 주휴수당 = 9,860원 × 4시간 = 39,440원

이렇게 일한 만큼 받는 게 당연한 권리입니다.

언제 지급되는 건가요?

주휴수당은 다음 주 유급휴일(일반적으로 일요일)에 대한 보상금 성격입니다.
그래서 대부분 주 단위로 급여와 함께 지급되며,
월급제라면 이미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니 급여 명세서를 꼭 확인해보세요.

? 이런 질문, 정말 많습니다 (Q&A)
Q. 주 3일 근무인데 주휴수당 받을 수 있을까요?
A. 총 근무시간이 15시간 이상이라면 OK! 일수보다 시간이 중요합니다.

Q. 하루라도 빠지면 못 받나요?
A. 네. 무단결근 포함해서 출근일을 빠지면 ‘개근 조건’이 충족되지 않아 지급 대상이 아닙니다.

Q. 월급제 근로자는 따로 안 주나요?
A. 경우에 따라 다릅니다. 이미 주휴수당이 포함된 구조일 수 있어서 계약서나 명세서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꼭 알아두면 좋은 팁

주휴수당은 ‘보너스’가 아니라 법에서 정한 의무 지급 항목입니다.

사업주가 “우리 가게는 안 줘도 돼요”라고 해도 법적으로 지급 대상이면 반드시 줘야 해요.

만약 주휴수당이 빠진 급여를 받았다면, 노동청에 상담 요청을 해볼 수 있습니다.
(국번 없이 1350 ☎?)

마무리하며
‘주휴수당’이란 용어만 들어도 머리가 복잡했나요?
사실 알고 보면 아주 간단한 구조입니다.
주 15시간 이상, 주중 개근. 이 두 조건만 맞으면 반드시 받을 수 있는 당연한 권리입니다.

지금이라도 내 근무시간을 기준으로 직접 계산해보세요.
혹시라도 누락되거나 덜 받은 게 있다면, 정당하게 요구할 수 있습니다.